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명지전문대학교 50주년 기념 홈페이지

명지전문대학 로고

기관/학과
닫기

THE MYONGJI COLLEGE 나의 新성장 발전소

글자크기 글자크게 보기 원래대로 글자작게 보기

정보통신공학과

공학·정보학부 정보통신공학과

학과소개

학과소개

정보통신공학과는 4차 산업혁명을 넘어 다가올 정보통신산업의 미래에 요구되는 실행 능력을 겸비한 첨단 ICT분야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실습 위주의 교육과정을 통해 실무능력을 갖춘 핵심 인력을 양성하며, 산업체 맞춤형 교육, 각종 경진대회 등에 참여함으로써 산업체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교육 연한은 3년제로 운영하며, 4년제 학사학위 과정과 연계되어 있어, 산업체 취업 또는 대학원 진학 등에 유리하다.

교육목표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Cross 2025을 근간으로 하여 미래사회에 핵심역량인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을 강화하고, 특히 임베디드 시스템, 스마트 프로그래밍, 센서 네트워크 등으로 SW 기반의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프로그래밍, 데이터 관리 능력을 갖추고, 국가 공인 및 국제 공인 자격증을 보유한 전문기술인을 양성한다.

■ 문서작성, 발표와 토론 능력을 강화하여 상호협력하고 소통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능력을 강화
■ 임베디드 시스템, 스마트 프로그래밍, 센서 네트워크 등으로 사물인터넷(IoT)을 구축 및 운영하는 전문가 양성
■ 머신러닝, 딥러닝, 데이터 마이닝 등 인공지능의 운영 및 프로그래밍 능력을 가진 전문기술인 양성
■ 국가 공인 및 국제 공인 자격증 취득과정 및 전공영어 교육으로 국내·외로 인정받는 기술인 양성

인재양성유형

정보통신공학과 인재양성유형표 - 인재양성유형, 직무내용으로 구성됨<
인재양성유형

직무내용

시스템 응용 SW개발 엔지니어

응용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로 각 업무에 맞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관한 설계, 구현 및 테스트를 수행하고, 사용자에게 배포하며, 버전관리를 통해 제품의 성능 및 서비스를 개선하는 일이다.

시스템 관리·운용 엔지니어

임베디드SW엔지니어링:하드웨어 플랫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플랫폼별로 운영체제 이식과 펌웨어, 디바이스 드라이버, 애플리케이션 등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하드웨어 플랫폼에 최적화를 수행하는 일이다.

취득 자격증

정보처리 산업기사, 정보통신 산업기사, MCSE, CCNA, CCNP, CCIE, ESDP, 전자상거래 관리사, 웹마스터전문가, 웹 프로그래머, 웹서버관리사(WSMC), 네트워크 관리사, 리눅스 마스터, OJCP, 정보처리 기능사, PC 정비사

교육활동 및 진로

정보통신 관련 산업체의 다양한 S/W 개발분야 (빅데이터, 인공지능, 뉴미디어 창작자, 모바일 앱 프로그래머, 웹프로그래머, 웹 디자인, 게임 프로그래머 및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개발자), 로봇 제어, 네트워크 관리 및 유지/보수 분야, 웹서버/솔루션 개발 및 관리업체, 인터넷 콘텐츠 제공 및 서비스 분야 또한 다양한 관련 벤처기업 창업, 초·중·고 전산 실습 교사, 시스템 엔지니어로 진출이 가능하다.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운영

교수진소개

교과안내

위로 이동